구분 | 내용 | |
연구기획팀 (내선번호 201-204) |
부산시 정신건강 현황자료 조사 및 정신건강 데이터 분석 |
부산시민의 정신건강 현황에 대한 기초 자료 조사 부산시민의 정신건강 및 수면문제에 관한 데이터분석을 통하여 지역구별 특성 파악 |
지역사회정신건강 업무 표준화 |
기초정신건강복지센터 업무 현황에 대한 실태 조사 기초정신건강복지센터 업무 표준화 매뉴얼 개발 |
|
정신건강증진팀 (내선번호 101-104) |
정신건강 문화조성사업 |
‘10월10일 정신건강의 날’ 기념행사 정신건강 인식개선 캠페인 정신건강 인식개선을 위한 각종 홍보 |
정신건강 관련기관 네트워크 사업 |
부산IN마음 연합캠페인 네트워크 사업 정신건강 유관기관 네트워크 구축사업 정신건강 실무자 역량강화를 위한 교육 및 네트워크 지원 |
|
직장인 정신건강증진사업 |
부산지역 직장인 대상 정신건강 교육 및 상담, 힐링프로그램 ‘스마일’ 부산시청 내 ‘열린상담실’ 운영 자살예방 실무자 정신건강증진 |
|
통합재활팀 (내선번호 112-115) |
조기정신증 관리지원사업 |
조기정신증 상담 및 지원 조기정신증 발견을 위한 지역사회 네트워크 구축 초발정신질환자를 위한 연구 및 매뉴얼 개발 |
중증정신질환자 통합관리 시스템구축 사업 |
희망NOCH(Network Of Community-Hospital) 중증정신질환자 지역사회 통합을 위한 연구 정신질환 인식개선 및 문화조성 |
|
절차보조팀 (내선번호 107-111) |
절차보조서비스 |
정신질환자의 치료과정에서의 각종 절차보조 및 동료지원서비스 제공 |
절차보조사업 홍보 및 유관기관 네트워크 구축 |
절차보조사업 홍보 컨텐츠 개발 및 사업홍보 당사자 자조모임 활성화 및 유관기관 네트워크 구축 |
|
아동청소년팀 (내선번호 116-117) |
아동청소년 정신건강 관련 프로그램 개발 및 정책연구사업 |
아동청소년 정신건강 관련 현황분석 및 매뉴얼 개발 지역아동센터-정신건강복지센터 연계활성화 사업 |
아동청소년 정신건강 교육지원사업 |
마음건강돋보기 교육 운영 및 지원 아동청소년 정신건강관련 전문가 교육 학생정서행동특성검사 전문상담인력 관련 교육 아동학대예방교육 |
|
아동청소년 홍보 및 네트워크 구축사업 |
아동청소년 정신건강 캠페인 아동청소년 정신건강 관련기관 회의 및 네트워크 구축 |
부산시 정신건강 현황자료 조사 및 정신건강 데이터 분석 |
부산시민의 정신건강 현황에 대한 기초 자료 조사 부산시민의 정신건강 및 수면문제에 관한 데이터 분석을 통하여 지역구별 특성 파악 |
지역사회정신건강 업무 표준화 |
기초정신건강복지센터 업무 현황에 대한 실태 조사 기초정신건강복지센터 업무 표준화 매뉴얼 개발 |
교육(집단)
평가 및 상담관리
(개별)
힐링프로그램
(집단)
직장인 정신건강교육 |
내용: 직무스트레스 및 자기관리, 감정노동자 대상 정신건강교육(우울, 외상 후 스트레스 등) |
찾아가는 정신건강상담 |
내용: 기업체에 정신건강전문요원이 직접 방문하여 일대일 상담 진행 방법: 간이심리검사 실시 및 결과분석(우울, 불안, 직무스트레스, 알코올중독선별검사, 자살사고 등), 정신건강 관련 정보제공 |
정신건강증진 프로그램 |
내용: 직장인 직무스트레스 해소를 위한 힐링프로그램 진행 방법: 대상자의 욕구에 따른 치유 및 체험프로그램 기획 및 제공(예, 아로마힐링, 원예요법, 숲체험 등) |
- 접수방법: 안내공문 발송을 통한 신청서 접수 후 업체담당자와 협의 후 진행
- 문의: 정신건강증진팀 051-242-2575 내선) 101~104 / e-mail: busanmind@hanmail.net
- 대상: 부산광역 소재 기업에 재직 중인 직장인
- 내용: ‘스트레스 관리로 행복한 마음건강 일터’ 직장인 정신건강 관리시스템
상담
선별검사
의사내소상담
교육
힐링프로그램
정신건강상담 |
내용: 정신건강전문요원이 직접 방문하여 일대일 상담 진행 방법: 정신건강문제 및 자녀양육, 성격유형파악 등 다양한 정신건강상담 |
정신건강 선별검사 |
내용: 공무원의 정신건강문제를 사전예방 방법: 직무스트레스, 우울, 불안, 알코올 사용장애, 자살사고 등의 정신건강 선별검사 |
정신건강의학과 의사내소상담 |
내용: 정신건강의학과 의사가 직접 상담실에 방문하여 상담진행 방법: 정신건강문제로 인한 일상생활 적응의 어려움이 있거나, 평소 병원방문을 망설였던 공무원의 심층상담 |
정신건강교육 |
내용: 정신건강문제를 미리 예방하고 적절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다양한 교육제공 |
힐링프로그램 |
내용: 공무원 스트레스 완화 및 재충전을 위한 체험프로그램 진행 방법: 대상자의 욕구에 따른 치유 및 체험프로그램 기획 및 제공(탬플스테이, 숲체험, 바리스타체험, 자녀와 함께 하는 힐링, 아로마힐링 등) |
- 접수방법: 전화 및 메일, 메신저를 통한 신청접수 후 진행
- 문의: 051-888-5768(화, 목), 051-242-2575(월, 수, 금) 내선)101-104 / e-mail: empl2012@hanmail.net
- 대상: 부산시 공무원
- 시간: 9:00 ~ 18:00
상담
실무자회복지원
교육
힐링
문화공연
상담 |
내용: 정신건강전문요원이 직접 방문하여 일대일 상담 및 집단상담 진행 방법: 직무스트레스와 우울 등 다양한 정신건강상담 |
실무자회복지원 |
내용: 대상자 자살을 경험하여 상담을 요청하는 개인 및 기관을 대상으로 자살예방센터와 연계하여 진행 방법: 전반적인 심리상태 파악 및 개별 상담실시 후 필요한 프로그램 지원 |
교육 |
내용: 정신건강문제 예방 및 업무 내 문제 상황에서 적절히 대처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교육제공 |
힐링 |
내용: 자살예방 실무자의 생리적 치유와 심리적 치유를 목적으로 하는 힐링 프로그램 방법: 일상생활에서 탈피하여 자연친화적 테마를 활용(숲체험, 힐링트래킹 등) |
문화공연 |
내용: 자살예방 실무자가 일상에서의 여유와 삶의 의미를 찾을 수 있도록 도움 방법: 다양한 문화공연 프로그램을 제공 |
- 접수방법: 프로그램 진행 4주 전 프로그램 참여 안내 공문 및 메신저 발송
- 문의: 정신건강증진팀 051-242-2575 내선) 101~104 / e-mail: busanmind@hanmail.net
- 대상:부산시 자살예방 실무자
프로그램 대상 | 정신의료기관에 입원해 있으며 현재 퇴원 예정인 중증정신장애인 및 가족 |
프로그램내용 | ![]() |
희망노크 네트워크 체계도 | ![]() |
희망노크 연계과정 | ![]() |
사업대상 | 정신의료기관 및 정신요양시설에 비자의입원․입소 중인 사람 중 서비스 제공에 동의한 사람을 우선으로 제공 |
사업내용 |
정신질환자의 권리 및 치료 관련 정보제공, 이해 도움 정신질환자의 치료에 관한 의사 및 선호파악 당사자의 의향을 반영한 각종 절차 지원 퇴원 후의 치료 및 지역사회 연계계획 수립 지원 동료지원서비스를 통해 정서적 지지 및 공감 제공 |
사업대상 | 지역아동센터를 이용하는 아동청소년, 부모, 종사자 |
사업내용 |
지역아동센터 부산지원단 업무협약 및 추진지원단 구성 지역아동센터 욕구 및 현황분석 지역아동센터 교육지원 지역아동센터 정신건강증진 프로그램 개발 |
(우)48434 부산광역시 남구 수영로 299(대연동) 루미너스타워 12층|TEL : 051-242-2575|FAX:051-466-5072|E-mail:busanmind@hanmail.net
Copyright © BUSAN IN MAUM. All rights reserved.Designed by 웹스.